미국 현대 정치에서 가장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 중 하나로 꼽히는 딕 체니 전 부통령이 84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가족은 체니가 폐렴과 심혈관 질환 합병증으로 숨졌다고 밝혔다.
생전 딕 체니 전 미국 부통령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4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따르면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부통령을 지낸 그는 테러와 전쟁, 감세와 권력 구조 재편 등 굵직한 정책을 설계하며 ‘그림자 대통령’으로 불렸다.
체니는 2001년 9·11 테러 당시 백악관 지하 벙커에서 대응을 지휘하며 부통령의 역할을 넘어 사실상 행정부를 이끌었다
릴게임추천 . 그는 애국법(USA Patriot Act) 제정을 주도하고, 영장 없는 감청과 무기한 구금, 강화심문으로 불린 고문 정책을 옹호했다.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2003년 이라크전 역시 그의 설계 아래 추진됐다. 그러나 대량살상무기(WMD) 정보가 허위로 드러난 뒤에도 체니는 “당시 대통령의 결정은 옳았다”며 전쟁 결정에 대한 책임을 부인했다.
게임몰릴게임 그의 정치 경력은 전례 없는 궤적을 그렸다. 34세에 제럴드 포드 대통령의 백악관 비서실장으로 임명돼 최연소 기록을 세웠고, 조지 H.W. 부시 행정부에서는 국방장관으로 걸프전을 지휘했다. 미군 병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쿠웨이트를 신속히 탈환한 작전으로 군 내부의 신망을 얻었다. 이후 조지 W. 부시의 러닝메이트로 부통령이 된 그는 외교·안보·경제 전
릴게임가입머니 반에 걸쳐 막강한 권한을 행사했다. 백악관 참모들은 “체니는 대통령보다 더 대통령 같았다”고 회고했다.
하지만 그의 권력 행사는 끊임없는 논란을 낳았다. 체니가 주도한 에너지 태스크포스(TF)는 석유기업 로비스트들과 비공개로 회의를 진행해 “산업계의 이해가 국가정책을 좌우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체니의 비서실장이었던 루이스 리비가 이라크전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명분을 비판한 외교관의 아내가 미 중앙정보국(CIA) 요원이라는 사실을 언론에 유출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으면서 부통령실은 ‘보복 정치의 진원지’라는 비난에 휩싸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체니는 “테러 시대에 강력한 행정부는 불가피하다”며 한 치도 물러서지 않았다.
부시 행정부 1기 동안 그는 콘돌리자 라이스, 도널드 럼스펠드 등 안보 라
바다이야기사이트 인과 함께 ‘강경 보수 트리오’로 불리며 대통령의 의제 대부분을 설계했다. 그러나 이라크전 장기화, 포로 학대 논란, 국내 감청 프로그램 폭로가 이어지며 2기 후반에는 영향력이 크게 약화됐다. 부시 대통령조차 회고록에서 “체니는 행정부의 다스 베이더(그림자 권력)가 됐다”고 적었다.
퇴임 후에도 체니는 ‘워싱턴의 매파’로 남았다. 오바마 행정부의 관타나모 수용소 폐쇄 계획을 “국가를 위험에 빠뜨리는 결정”이라 비판했고, 트럼프 행정부와는 정면으로 대립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헌정 질서에 대한 위협”이라 지칭하며 2024년 대선에서 민주당 카멀라 해리스를 지지했다. 그의 딸 리즈 체니 전 하원의원 역시 트럼프 탄핵에 찬성하며 부친의 정치적 유산을 잇고 있다.
체니의 정치철학은 ‘강한 미국’이었다. 그는 베트남전과 워터게이트 이후 약화된 행정부 권한을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부시 행정부에서 이를 실현했다. 대통령 권한 확대, 정보기관의 비밀 작전, 선제공격 교리 등은 모두 체니의 손끝에서 시작됐다. 반면 자유권 침해 논란과 권력 불투명성은 그가 남긴 어두운 그림자였다.
체니는 “대통령은 국민을 보호할 의무가 있다. 그것이 헌법보다 앞설 때도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그가 권력과 자유의 경계를 바라보던 시각을 보여준다. 체니의 사망으로 부시 행정부를 상징하던 보수 안보 기조는 역사 속으로 넘어갔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